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첫 회담을 하루 앞둔 28일 공개 일정을 잡지 않고 대화 준비에 전력을 쏟았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각각 참모들과 함께 의제들을 최종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29일 열리는 이 대표와의 회담에서 민생 문제에 대한 이 대표의 의견을 듣는 데 주안점을 둘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윤 대통령은 민생 경제 문제에 대한 이 대표의 생각과 해법을 경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회담에서 의료공백 사태 문제를 우선적으로 논의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으나 고물가로 인해 나빠진 체감경기 등을 우선 현안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홍철호 정무수석은 지난 26일 회담 성사 사실을 밝히며 “가장 중요한 것이 민생 현안”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생중계 가능성이 있는 회담 모두발언 메시지에 집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준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모두발언 메시지가 분명해야 하지 않겠는가”라며 “영수회담에 임하는 자세뿐만 아니라 민의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충분히 담아야 하기 때문에 이 대표가 (직접 모두발언을) 정리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그러면서 “(모두발언 메시지를) 어떻게 표현하고, 순서를 어떻게 할 건지 이 대표가 정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 지도부의 한 의원도 “이 대표의 모두발언이 회담 전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회담 테이블에 올릴 주요 의제 선별에도 고심한 분위기다. 사전 조율이 무산됐기 때문에 어떤 의제를 어느 수위로 제시할지 등을 놓고 내부 논의를 폭넓게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민생회복지원금의 경우 이 대표가 먼저 금액·지급 대상 등을 조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지는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는 윤 대토령에게 ‘채상병 특검법’ ‘김건희 특검법’ 수용을 설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 대표는 민주당이 21대 국회에서 처리를 공언한 ‘채상병 특검법’의 수용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장군 이경원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