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논의 시효 끝났다”

입력 2024-04-26 02:07
의대 교수들의 사직 효력이 발생하는 25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이동하고 있다. 아래는 같은 날 대구의 한 대학병원에서 소아청소년과의 한시적 토요일 휴진을 알리는 안내문이 게시된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은 더 이상 논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의사단체들이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통일된 정원’을 제시하더라도 2025학년도 논의 시효는 끝났다는 것이다.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은 애초 5058명에서 재조정된 ‘4058명+α’로 굳어질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25일 “의료계가 합리적·과학적 근거에 따라 통일된 안을 제시하더라도 2025학년도 대입 정원은 논의 대상이 아니다”며 “의대 모집인원 유연화 조치에 따라 현재 대학에서 정원 조정 작업을 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논의는 불가하다”고 말했다. 이어 “2026학년도가 될지, 2027학년도 이후일지 몰라도 의료계가 정원을 제시하면 논의할 수 있지만 2025학년도는 끝났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2000명 증원 입장을 고수했으나 의사 반발에 밀려 2025학년도에만 대학별 배정 인원의 50~100%에서 뽑을 수 있도록 한발 물러섰다. 대입 현장에서는 수시 원서접수(9월 9일) 넉 달여 남은 시점에서 대입 전반에 영향을 주는 의대 정원이 ‘3058명→5058명→4058명+α’로 늘었다 줄어든다는 비판이 나왔다. 수험생들은 “작년에는 킬러문항, 올해는 의대로 입시가 쑥대밭” “인생이 걸린 입시가 장난인가” 등의 불만을 쏟아냈다. 정부가 의사들에게 밀려 또다시 정원에 손댈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았다. 그러자 정부가 2025학년도 대입은 논의 테이블에서 아예 제외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이다.

다음 달 말 발표되는 2025학년도 수시 모집요강에 담긴 인원이 최종 의대 모집인원이 될 전망이다. 대학들은 배정 인원의 50~100% 범위에서 모집 인원을 조정 중이다. 국립대의 경우 배정 인원의 절반 수준, 사립대의 경우 배정 인원을 모두 뽑는 곳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각 대학이 의대 정원 조정 작업을 마무리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제출하면 대교협은 5월 말까지 심의해 결과를 대학에 통보한다. 대학들은 대교협 심의 결과를 반영해 수시 모집요강을 확정해 공개한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