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에서 12석을 확보한 조국혁신당의 첫 원내대표로 황운하 의원이 선출됐다. 황 의원은 당선인들의 만장일치 찬성으로 원내 사령탑에 올랐지만 원내 상황은 녹록지 않다는 평가다. 조국혁신당이 목표로 한 범야권 공동 교섭단체 구성이 더불어민주당의 견제로 어려워진 데다 조국 대표와 황 원내대표 모두 ‘사법리스크’를 안고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조국혁신당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당선인 총회에서 원내대표 투표를 실시해 10분 만에 만장일치로 황 의원을 선출했다. 투표는 별도 입후보 절차 없이 당선인 12명이 모여 한 명으로 결정될 때까지 투표하는 콘클라베 방식으로 진행됐다.
경찰 출신의 황 원내대표는 다음 달 30일 22대 국회가 개원하면 조국혁신당에서 유일한 재선 의원이 된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원내부대표까지 지냈지만 총선을 앞두고 조국혁신당으로 당적을 옮겨 비례대표로 당선됐다.
황 원내대표는 지난해 11월 청와대 하명수사 및 울산시장 선거 개입 혐의 관련 1심 재판에서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조 대표도 자녀 입시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사건 등으로 2심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은 상태다. 이 때문에 최악의 경우 당 ‘투톱’이 모두 자리에서 물러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회 임기 중에 실형이 확정되면 의원직을 상실한다.
황 원내대표는 국회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지적에 “조 대표든 저든 대한민국 사법 시스템을 존중할 것”이라며 “어떤 판결이 나온다고 해도 그 이후 상황을 충실하게 준비해 지속가능하고 발전하는 정당의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당백의 각오로 임하는 조국혁신당은 강소 정당을 지향한다”며 “검찰 독재에 맞서 가장 강하게, 단호하게, 선명하게 맨 앞에서 싸워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국혁신당은 총선에서 선명한 대여 투쟁을 앞세워 선전했지만 민주당의 견제 등으로 원내 역할에 있어선 현실의 벽에 부닥친 모습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회담을 앞두고 조 대표가 공개 제안한 범야권 연석회의 개최를 민주당이 거절하면서 체면을 구겼다.
여기에 조국혁신당이 구상한 범야권 공동 교섭단체 구성도 민주당의 비협조로 어려워졌다는 평가다. 황 원내대표는 “교섭단체 구성 요건이 20명으로 정해진 것은 어찌 보면 유신독재의 잔재”라며 “민주당은 조국혁신당을 위해서가 아니라 정치 개혁을 위해 요건 완화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