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대 노준석(사진) 교수 연구팀이 위변조 방지 기능을 갖췄으며, 인체에 무해해 식품이나 식품 용기에 원산지 정보 등을 새길 수 있는 친환경 라벨링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연구 성과가 식품과학·기술 분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네이처 푸드’ 표지 논문으로 25일 게재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물에 녹는 친환경 물질을 활용해 메타표면을 만들고, 과일과 플라스틱 용기 등에 라벨(QR코드)을 프린트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메타표면은 탈·부착할 수 없으며 매우 높은 해상도의 선명한 구조색으로, 지폐의 미세문자보다 작은 글자를 라벨에 새겨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라벨 두께는 30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정도로 머리카락보다 300배 얇으며 물에 녹는 라벨 소재는 인체에 무해하다.
현재 농식품에 붙이는 라벨은 주로 잉크 스티커 형태로 돼 있어 영양 성분 정보 등을 속일 수 있다. 또 접착제로 붙인 라벨이 있는 플라스틱·유리병은 재활용도 어렵다. 연구팀은 과기정통부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 사업을 통해 2022년 6월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연구를 진행했다. 노 교수는 “이 기술은 매우 의미 있고 상징적인 융합연구 사례”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