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하반기 공개할 스마트워치 신제품인 ‘갤럭시 워치7’ 시리즈에 혈당 모니터링 기능을 탑재할 전망이다. 비(非)채혈 방식으로 혈당 관리를 하게 되면 당뇨 환자들 불편함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박헌수 삼성전자 MX(모바일경험)사업부 디지털 헬스팀장이 지난 11일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에서 삼성헬스 자문위원들과 갤럭시 워치7의 혈당 모니터링 기능 탑재를 포함한 인공지능(AI) 웨어러블(착용형) 기기 관련 전략을 논의했다고 25일 밝혔다.
정명진 삼성의료원 AI 연구센터장은 “웨어러블 제품으로 연속해서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AI를 통해 핵심적인 정보만을 손쉽게 파악한다면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이해가 한층 높아진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클로노프 미국 밀스페닌슐라메디컬센터 당뇨병연구소 박사도 “혈당 데이터를 수면, 혈압, 신체 활동 등과 결합하면 종합적인 관점에서 건강을 이해하고 당뇨와 같은 잠재적 질환에 대한 조기 신호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 세계적으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혈당 관리 기능에 대한 관심도는 높아지고 있다. 당뇨 환자는 하루 10번씩 피를 뽑아가며 혈당을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손목 혈관을 감지하는 센서를 활용한 비채혈 모니터링 기술이 상용화되면 혈당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혈당 관리 기능이 웨어러블 기기 시장을 폭발적으로 키울 기폭제로 꼽는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올해 하반기 갤럭시 워치7과 다른 웨어러블 기기에 혈당 모니터링 기능을 탑재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