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이 해가 갈수록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피해 어업인과 지역민을 구제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근해 오징어 생산량은 2만3343t으로 전년(3만6578t) 대비 36.2% 줄었다.
특히 오징어류 위탁판매량과 판매금액 전국 1위인 경북 포항의 경우 심각한 수준이다. 김영헌(사진) 포항시의원에 따르면 포항시의 지난해 오징어 위탁 판매량은 2022년 대비 76.6%, 판매금액은 67.7% 줄었다. 이는 전국 오징어 위탁 판매량 감소율 38.5%의 2배 정도고 판매금액 감소율 18.7%의 약 3.6배에 이른다.
최근 동해안 대표 어종인 오징어는 동해 바다 기온상승으로 어군이 북상하고 중국어선의 불법 남획으로 어획량이 급격하게 줄었다.
오징어는 날씨가 추워지는 매해 9월부터 다음 해 1~2월까지가 성어기인데, 해수 온도가 높아지면서 오징어가 북쪽으로 자리를 옮겼다는 분석이다. 또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은 2020년 기준 2400여척으로 2004년에 비해 16배 이상 증가했다.
오징어 어획량 급감으로 인한 어선원의 실업, 생계 문제는 재해로 봐야 할 만큼 피해가 심각하다. 일자리를 잃은 어선원 대부분은 실업급여를 받지 못하거나 다른 일자리를 찾고 있다.
김 의원은 포항시의회에서 열린 314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포항시 관내 오징어 채낚기 어업은 작년 10월부터 현재까지 전혀 출어를 못하고 있다”면서 “채낚기어선 등 100여척이 임시 폐업 수준으로 수백명의 선원이 6개월 이상 일자리를 잃고 생계를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징어 어획량 감소가 재해에 준하는 수준”이라며 “피해 어업인이 장기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오징어 어획량 급감으로 피해를 본 동해안의 어업인을 구제하기 위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항시의 어촌·어업인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르면 정부의 지원대상에서 제외되는 어업재해에 대해 지원할 수 있다. 시는 지난해 도산위기에 처한 어업인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해 오징어 어선 76척에 출어경비를 긴급 지원했다. 인근 지역인 울진군도 올해 초 채낚기 어선 어업인들에게 유류비 4억8000만원, 인건비 3억원을 긴급 지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