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사진) 한국은행 총재는 이란과 이스라엘 충돌이 더 확대되지 않는다면 환율이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추가경정예산 편성 요구에 대해서는 근시안적인 시각이라며 반대 뜻을 분명히 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춘계총회 참석차 방미 중인 이 총재는 19일(현지시간) 특파원 간담회에서 “여러 불확실성이 한꺼번에 터진 상황”이라며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과 미국 금리 인하가 생각보다 지연된다는 자료가 나오기 시작하며 우리뿐 아니라 아시아 환율이 동반 약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화 절하 속도가 과도하게 빠르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서 이런 의견을 공유해 환율이 안정세에 들어가기 시작했다”며 “이후 이스라엘이 이란에 반격하며 흔들렸는데, 확전되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이 들리며 다시 안정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우리처럼 석유 소비량이 많은 나라는 중동 사태가 어떻게 될지에 따라 향방이 굉장히 불확실하다”면서 “확전이 되지 않는다고 하면 유가가 크게 더 올라가지 않고, 호르무즈 해협 봉쇄와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으면 제 생각에는 환율도 다시 안정화 쪽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추경 요구에 대해 이 총재는 “현재는 재정이 좋다고 하더라도 고령화로 인한 복지 비용을 고려하면 근시안적 시각”이라며 “우리가 갖고 있는 저출산 등의 문제는 단기적으로 해결될 것이 아니라 구조조정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지금 당장은 국가부채 비율이 53%이지만, 현재의 복지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더라도 고령화로 인해 정부가 지출해야 하는 국가부채를 생각해 보면 20년 이내에 이 숫자가 70%, 90%로 올라갈 수 있다”며 “현재의 숫자만 보고 재정 상태를 판단하는 건 섣부르다”고 말했다.
미국보다 한국이 먼저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에 대해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가장 관심을 두는 것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라며 “하반기 물가 상승률이 평균 2.3%까지 내려가느냐에 확신을 못 하는 상황인데 이를 우선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