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국립대, 의대증원 절반까지 자율 감축 건의

입력 2024-04-19 00:23
대한의사협회 의대정원 증원 저지 비상대책위원회가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전국 의사 대표자 확대 회의 및 행진 행사'를 열고 대통령실 방향으로 행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립대 총장들이 정부가 배정한 2025학년도 의대정원 증원분을 대학 자율로 절반까지 축소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건의했다. 정부는 곧바로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를 수용할 경우 의대 증원 규모는 최대 1000명까지 줄어들 수 있어 의료계 반발을 잠재울 중재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강원대와 경북대, 경상국립대, 충남대, 충북대, 제주대 등 거점국립대 6개 대학은 18일 총장 명의 건의문을 내고 “2025학년도 대입전형의 경우 대학별 자체 여건을 고려해 증원된 정원의 50~100%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도록 조치해 달라”고 요구했다. 사실상 정부 증원분을 최대 절반가량 반납하고 축소할 수 있도록 열어 달라고 요구한 것이다.

지난달 교육부가 확정한 의대 증원분을 보면 강원대 83명, 경북대 90명, 경상국립대 124명, 충남대 90명, 충북대 151명, 제주대 60명 등으로 총 증원 규모 2000명 가운데 598명(29.9%)에 달한다.

홍원화 경북대 총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6개 대학은 일단 (증원 규모를) 50%로 축소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며 “나머지 대학은 10%정도 더 받겠다는 경우도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사립대도 뜻을 같이할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6개 대학만 축소할 경우 전체 의대 증원 규모는 1701명으로 원안에서 299명가량 줄어든다. 나머지 34개 대학이 일괄적으로 50% 축소를 결정하게 되면 전체 증원 규모는 1000명대로 줄어든다.

다만 총장들은 올해에 한정해 변경 계획을 반영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2025학년도 대입전형 일정과 관련해 남은 시간이 길지 않아 더 이상 지켜만 보고 있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지속하면 2025학년도뿐 아니라 이후까지 더 큰 혼란과 교육 파행이 예상되고 교육여건 악화가 장기화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언급했다. 대학들이 대입전형을 변경하는 시한은 이달 말까지다.

교육부 관계자는 “보건복지부와 긴밀하게 협력해 향후 협의해 조속한 시일 내 입장을 정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우리의 입장은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한다는 것”이라며 “의견이 나왔으니까 당연히 검토는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이경원 기자,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