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을 진행 중인 태영건설이 100대 1 비율로 대주주 무상감자를 실시한다. 출자 전환 등으로 1조원 규모 자본을 확충하게 됐다.
태영건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16일 오후 3시 채권단 18곳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어 대주주 지분 감자 비율을 100대 1로 제시한 기업개선계획 초안을 공개했다. 소액주주 지분에 대한 감자 비율은 2대 1을 검토 중이다.
출자전환 등 자본 확충 규모는 1조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태영건설은 지난해 말 기준 자본총계가 -6356억원으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였다.
채권단은 무담보채권 중 50%인 약 3000억원을 출자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부족한 7000억원가량은 대주주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채운다.
워크아웃 이전 모회사 티와이홀딩스는 사모펀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로부터 빌려 태영건설에 대여한 4000억원을 100% 출자전환하기로 했다. 워크아웃 개시 후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자금 등을 통해 태영건설에 넣은 약 3300억원에 대해서 영구채 전환 등 자본확충 방법을 논의하기로 했다.
대주주가 대규모 자본 확충에 참여하는 만큼 태영건설에 대한 대주주 경영권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태영건설 주식에 대한 경영권 포기, 의결권 위임 등을 약속한 만큼 워크아웃 기간 경영권 행사는 어렵다.
기존 41.8%인 대주주 지분은 60% 안팎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지분은 티와이홀딩스 27.8%, 윤석민 회장 10.0%, 윤석민 회장 부인 3.0%, 윤세영 창업회장 1.0% 등이다.
태영건설이 참여 중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60곳(준공 완료 1곳 포함)에 대한 처리 방향도 이날 공개됐다. 본PF 사업장 40곳 중 상당수는 사업을 그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10곳 미만 사업장만 시공사 교체 또는 청산(경공매)을 결정했다.
브릿지론 단계의 PF 사업장 20곳 대부분은 시공사 교체 또는 청산이 이뤄진다. 1곳만 사업을 그대로 이어가는 쪽으로 결정했다.
강창욱 김진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