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채모 상병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더불어민주당의 특검법 추진과 관련해 “진행 중인 수사에 최대한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공수처 관계자는 16일 정례 브리핑에서 “특검 추진에 대해 특별한 입장을 말하기는 어렵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아직 주요 피의자에 대한 조사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공수처는 지난해 9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경찰에 이첩된 ‘채 상병 사건’ 관련 기록을 회수하도록 지시했다는 의혹의 고발사건을 접수했다. 공수처는 이 전 장관을 지난해 12월 출국금지 조치했는데 이 전 장관이 주호주 대사로 임명됐고, 정치적 논란 끝에 사퇴했다.
공수처 내부에선 총선 후 특검 도입이 급물살을 탄 것에 곤혹스러워하는 기류도 읽힌다. 특검 도입이 현실화하면 고위공직자 수사를 위해 설립된 공수처가 사건을 특검에 넘겨줘야 하고, 공수처 무용론이 재부각될 수 있다. 김진욱 초대 처장이 지난 1월 20일 퇴임한 후 3개월째 처장 공백이 이어지고 있는 상태다.
한편 공수처 수사1부(부장검사 김선규)는 이날 공수처 출범 후 ‘1호 인지 사건’으로 수사해 온 김모(53) 경무관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등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지난해 2월 김 경무관의 서울경찰청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지 1년2개월 만이다. 김 경무관은 2020년 6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약 4년간 의류업체 대표 A씨의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자신의 오빠나 지인 계좌로 송금받는 식으로 A씨로부터 총 7억7000만원 상당의 뇌물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김 경무관은 형사사건 등과 관련해 담당 경찰을 알선해 달라는 청탁을 들어주는 대가로 금품을 수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