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의지가 있는 비수도권 대학을 집중 지원하는 ‘글로컬대학’ 사업의 예비지정 20개 대학 그룹이 추려졌다. 국립대 중심으로 이뤄졌던 지난해 1차연도 사업과 달리 사립대와 전문대들이 대거 선정됐다. 시·도 경계를 넘은 대학 조합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교육부는 16일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표 참조). 고강도 구조조정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지방대 육성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예비지정과 본지정 두 단계 평가를 거쳐 2026년까지 30곳을 선정해 국고 1000억원 등을 지원한다.
올해 사업에는 109개교로 구성된 65개 그룹이 도전장을 냈다. 기존 대학 한 곳만 지원하는 ‘단독형’과 복수 대학의 통폐합을 전제로 하는 ‘통합형’ 외에 ‘연합형’이 신설됐다. 학사 조직은 그대로 두고 대학을 운영하는 본부 수준에서 협력하는 개념이다.
33개교로 구성된 20개 그룹이 예비지정 관문을 통과했다. 단독형은 경북대 등 11곳이다. 통합형은 ‘충남대·한밭대’ ‘원광대·원광보건대’, 창원대와 경남도립거창대, 경남도립남해대가 통합하고 한국승강기대 등과 연합하는 복합 유형까지 3개 그룹이다. 연합형은 ‘동명대·신라대’ ‘동신대·초당대·목포과학대’ ‘동아대·동서대’ ‘대구보건대·광주보건대·대전보건대’ ‘영남대·금오공대’ ‘울산과학대·연암공과대’ 등 6개 그룹이다.
사립대와 전문대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4년제 국립대 7개교(21.2%), 4년제 사립대 16개교(48.5%), 전문대 10개교(30.3%)다. ‘대구보건대·광주보건대·대전보건대’ ‘울산과학대·연암공과대’ 등 두 그룹은 전문대로만 구성해 지역 경계를 넘어선 초광역권 구성을 선보였다. 시·도별로는 경남이 7개교로 가장 많았다. 부산·경북·전남·대전이 4개교씩, 충남·전북·대구·광주 2개교씩, 강원과 울산이 각각 1개교다.
예비지정 대학들은 오는 7월 말까지 혁신기획서에 담긴 과제를 구체화한 실행계획서를 토대로 본지정 평가를 받게 된다. 글로컬대학 본지정 평가 결과는 8월 말 발표된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