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장기화하는 의·정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여야와 정부, 의료계, 시민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보건의료계 공론화 특별위원회’ 구성을 거듭 제안했다. 4·10 총선 이후 여야 협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사회적인 대타협안을 마련하고 시급한 의료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여당의 대승적인 결단을 촉구한다”며 “정부는 대화를, 의료계는 복귀를, 전체적으로 실효적 대책을 갖고 논의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지난 4일에도 페이스북을 통해 “총선이 끝나는 대로 여당과 협의해 국회에 관련 특위를 구성하고 의료 공백과 혼란을 종식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일 대국민 담화에서 국무총리실과 보건복지부 등 정부 부처와 의료계 등이 참여하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이 대표는 여기에 야당과 시민사회의 참여를 요구한 것이다. 이 대표는 “정부는 특정 숫자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며 “의료계 역시 즉각 현장에 복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표는 신임 국무총리와 대통령 비서실장 등 여권의 인적 쇄신 추진에 대해선 날을 세웠다. 그는 “하마평에 오르는 분들의 면면을 보면 대통령께서 과연 총선 민의를 수용할 생각을 갖고 계시는지 상당히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정부는 이번 인사 개편을 그동안의 국정 실패를 반성하고 국정 기조 전반을 전환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실효적인 쇄신책을 마련하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대표가 제안한 특위와 관련해 “윤 대통령이 제안한 사회적 협의체 구성이 진행 중이며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이 대표의 제안에 직접적 반응을 자제하면서, 정부의 의료계 대화 노력이 이미 진행 중이라는 설명으로 에둘러 거리를 둔 것이다.
김영선 이경원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