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20대 여성들이 같은 세대 남성보다 더 많이 종교를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사역 제한 같은 남녀 불평등에 대한 불만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미국의 ‘서베이센터온아메리칸라이프’는 미국 성인 5459명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해 자신의 종교를 떠난 비율은 Z세대(1997~2004년생)에서만 여성이 54%로 남성(46%)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밀레니얼세대(1981~1996년생), X세대(1965~1980년생), 베이비붐세대(1946~1964년생) 등 다른 연령대에서는 남성의 53%, 55%, 57%가 ‘종교를 떠났다’고 응답해 여성보다 모두 높게 조사됐다.
종교를 떠나는 Z세대 남녀 비율 역전 현상은 남녀 역할에 대한 차별 때문으로 풀이됐다. ‘교회와 종교단체가 남성과 여성을 동등하게 대한다’는 문장에 동의하지 않는 남녀 비율 차는 Z세대가 여성 65%, 남성 54%로 11% 포인트 차로 가장 크게 벌어졌다. 이는 베이비붐세대 여성(53%)과 남성(51%)의 응답률이 2%포인트 차이 나는 것과는 상반됐다.
해당 조사기관은 미 최대 개신교 교단인 남침례교가 남성과 여성 리더십에 대한 위계를 구분하는 등 여전히 많은 보수 교단이 여성에게 리더 자리를 허용하지 않는다면서 “남성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자신도 할 수 있다고 믿고 자란 소녀와 젊은 여성은 교회 방침을 이해하기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여성이 봉사에 더 헌신적이며 자녀들의 신앙 양육에 더 주도적인 역할을 미친다는 과거 조사 결과를 고려한다면 교회가 젊은 여성을 돌아오게 하는 도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
미국 20대 여성들이 교회에 등돌리는 까닭은?
입력 2024-04-15 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