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플라스틱 순환경제 산업기반 구축

입력 2024-04-12 04:09

울산시는 2028년까지 ‘울산형 플라스틱 순환경제 산업기반(플랫폼) 구축사업’을 한다고 11일 밝혔다.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 재생 플라스틱 의무 사용 등 해외 주요국 플라스틱 분야 환경규제에 선제 대응하고 국내 산업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SK지오센트릭을 비롯한 지역 대기업들은 대규모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등 고부가가치 화학적 재활용 사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지만 중소기업들은 자체 설비 구축 부담 등으로 관련 시설에 대한 투자를 꺼리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시는 재생 원료를 실증할 수 있는 시설을 건립해 플라스틱 재활용 원료의 안정적 공급, 소재·제품의 신뢰성 확보, 중소기업 지원 등을 할 계획이다. 플라스틱 재·새활용(리앤업사이클링) 실증지원센터와 화학적 재활용 해중합 실증시설(테스트베드) 등 2개 세부 사업으로 추진되며 울산테크노파크가 수행한다.

플라스틱 재·새활용 실증지원센터는 단순히 폐기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활용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 플라스틱 재생 원료 관련 기업에 입주 공간과 실증 장비 사용을 지원하고, 시제품 제작, 유해성 인증 등을 통한 상용화 과정도 지원한다. 시는 플라스틱 재생 원료를 사용해 고부가가치 원료와 제품 생산, 기술 검증까지 원스톱 지원체계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화학적 재활용 해중합 실증시설은 해중합 기술을 실험할 수 있는 연구실험동과 시제품·실증화동으로 구축된다. 폴리우레탄(PU), 폴리스타이렌(PS) 등 현재 재활용이 어려운 폐합성수지의 화학적 재활용(해중합) 기술 실증 가능 장비를 구축해 물리적 재활용의 단점과 한계 극복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