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자] 물가 대응, 2% 부족한 농식품부

입력 2024-04-08 04:07

농림축산식품부 장·차관을 비롯한 간부진 15명에게 지난달은 눈코 뜰 새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은 공식 횟수로만 74회에 걸쳐 현장을 찾았다. ‘물가’ 때문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의 현장 방문 20회 중 16회가 물가 관련이었다.

사과를 비롯한 신선식품 가격 상승이 만들어낸 현상이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신선식품 물가는 지난해 9월부터 지난달까지 7개월간 적게는 6.8%에서 많게는 20.0%까지 올랐다. 그중 6개월은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사실 이명박정부 때인 2010년 통계를 보면 이보다 더했던 만큼 ‘전례가 없다’고 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당장 지금 먹거리 가격이 고민인 이들에게 해묵은 14년 전 기록은 중요하지 않다.

다행인 건 정부가 물가안정자금 1500억원을 투입하면서 신선식품 물가에 조금이나마 숨통이 트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지난달 21~31일 가격을 보면 하향하는 추세가 읽힌다. 농식품부 관계자들의 노력도 한몫했을 터다.

다만 ‘노력 점수’를 깎는 일들이 겹치다 보니 점수를 후하게 주기 힘들다. 농식품부는 지난달 29일 한국산 농축산물 수출과 관련해 올해 검역 협상 중점 품목 16개를 정했다. 그런데 이 중 하나가 하필 사과다. 국내에서 먹을 것도 없어 가격이 88.2%나 오른 상황이다. 굳이 이 시점에 수출 확대 중점 품목으로 사과를 택했어야 했나 싶다.

외식물가도 아쉬운 부분이다. 소상공인들에게 가격 인하를 강제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다른 방식으로 가격 인하 유도책을 마련하는 게 ‘적극 행정’이다. 하지만 그 흔적은 찾기 쉽지 않다.

신준섭 경제부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