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대원 폭행 가해자 87%가 ‘주폭’

입력 2024-04-05 04:02

119 구급대원을 상대로 한 폭행 사건은 오후 10~11시 심야 시간대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행 가해자의 87.4%가 술에 취한 상태였으며, 폭행을 당한 구급대원들은 대부분 ‘2030’ 세대였다.

소방청은 2015~2022년 8년 간 벌어진 구급 대원 폭행 사건을 분석한 결과 모두 합쳐 1713건의 폭행 사건이 벌어졌으며, 피해 구급 대원의 숫자는 2077명으로 조사됐다고 4일 밝혔다.

폭행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10~11시이며, 이 시간대에서 203건이 벌어졌다. 이어 오후 11~12시(175건), 오전 0~1시(150건) 순이었다.

1713건의 폭행 사건 중 ‘주취 폭행’이 1497건으로, 전체의 87.4%에 달했다. 피해 구급대원은 대부분 현장 출동 업무를 주로 맡는 ‘2030’ 세대였다. 30대가 1313명으로 가장 많았고, 20대 494명, 40대 237명 순으로 집계됐다. 피해 구급대원의 계급도 현장 인력인 소방사(852명), 소방교(823명) 계급이 대부분이었다. 피해 구급대원 중 남성의 비율은 83.5%로 여성 비율의 5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폭행 사건은 환자 상태를 확인하고 현장 처치를 시도하는 ‘도로상’(585건)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구급차 안’(464건)이 뒤를 이었다.

정부는 최근 의료진과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한 폭력에 대해 폭행·협박·업무방해·공무집행방해 등 혐의점을 면밀하게 조사해 엄정 조치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술에 취한 상태의 폭행도 감형 받을 수 없도록 특별법을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