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한국 독자제재에 “양국 관계에 악영향 미칠 것”

입력 2024-04-04 04:05

러시아 정부가 자국 개인·기관을 독자적으로 제재한 한국 정부에 유감을 표하며 대응 조치를 예고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3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한국이 러시아 시민과 법인을 제재한 것은 비우호적인 조치”라며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이번 조치는 양국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러시아도 이에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한반도의 복잡한 문제를 제재·압박 같은 비효과적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한국의 시도에 실망했다”며 “비생산적 태도를 재고하고 정치·외교적 해결 수단을 다시 모색하기를 한국에 촉구한다”고 밝혔다.

전날 한국 외교부는 북한 IT 인력 등 노동자 송출에 관여한 러시아 기관 2곳과 개인 2명, 북·러 간 군수물자 운송에 관여한 러시아 선박 2척을 제재 대상에 포함시켰다. 한국 정부가 러시아 국적 개인·기관·선박을 독자적으로 제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는 오는 7월 나토 정상회의에 윤석열 대통령을 3년 연속으로 초청했다.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32개 회원국 외무장관 회의를 개최한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의 파트너국인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정상을 7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에 초청했다”고 밝혔다. 한·미·일은 지난해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에 이은 3국 정상회의 개최를 협의 중인데, 7월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워싱턴에서 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북한과 이란은 러시아의 핵심적인 무기·탄약 공급국”이라며 “이는 아시아 안보가 유럽과 연결됐고, 인도·태평양 지역이 나토에도 중요하다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또 “무력이 아닌 법치에 의한 세계질서를 수호하려면 같은 생각을 가진 국가들이 협력해야 한다”며 “인도·태평양 4개국과 기술, 사이버, 하이브리드 위협, 우크라이나 지원을 포함한 실질적 협력을 통해 얻을 것이 많다”고 말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