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유통업계, 전문가와 힘을 합쳐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가 전담팀을 꾸려 관련 시장 실태조사에 나선 데 이어 중국 플랫폼에 대한 대응 수위를 한층 끌어올리는 모습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경희 중견기업정책관 주재로 ‘유통산업 혁신 간담회’를 열고 최근 유통산업 현안 진단 및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장근무 유통물류진흥원장과 이동일 한국유통학회장, 서용구 한국상품학회 부회장이 참석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국내 시장 진출과 온라인 유통부문의 급성장 등으로 국내 유통산업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만큼 업계와 정부가 합심해 유통업계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산업부는 학계·업계·정부가 함께하는 가칭 ‘유통미래포럼’을 이달 중 발족하기로 했다. 포럼을 통해 유통산업 혁신을 위한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취지다. 또한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국내 유통업계 전반에 접목시키는 유통산업 혁신·발전 전략을 수립해 올해 안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지난달 20일 신설한 온라인 유통 전담팀도 연구용역과 규제 개선을 통해 국내 온라인 유통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한다.
최근 공정위 등에서도 ‘C(China)커머스’를 정조준한 대책들을 내놓은 바 있다. 공정위는 지난달 26일부터 ‘이커머스 시장 실태조사 전담팀’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전담팀은 온라인 유통시장의 매출 현황과 서비스 유형 등을 조사해 연말 발간하는 정책보고서에 담을 계획이다. 국내외 플랫폼이 모두 조사 대상이지만 실질적인 타깃은 기존에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던 알리·테무 등으로 풀이된다. 국무조정실 주도로 출범한 범정부 차원의 ‘해외 직구 종합대책 태스크포스(TF)’도 해외직구 소비자의 안전을 확충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세종=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