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인턴 모집에 합격한 예비 전공의들의 수련 임용 등록이 2일 마감일을 맞았지만 이 중 10%만 임용 등록을 마친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 담화 발표 이후에도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윤 대통령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회장의 조건 없는 만남을 촉구하며 중재에 나섰다.
전병왕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브리핑에서 “의대 졸업 후 인턴 과정을 거치겠다고 한 2697명 중 10%에 못 미치는 인원만이 수련 중에 있다”고 말했다.
예비 전공의들이 수련을 받기 위해서는 이날까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수평위)에 임용 등록을 해야 한다. 하지만 대다수가 임용 등록을 마치지 않으면서 이들은 올해 9월 또는 내년 3월이 되어서야 인턴 수련을 시작할 수 있게 됐다. 복지부가 대통령 지시대로 ‘유연한 처분’을 하더라도 임용 등록을 이날까지 완료하지 않으면 구제 방법은 없는 상황이다. 전 실장은 “(추후에 전공의가 복귀하더라도 인턴의 상반기 수련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전공의가 돌아올 조짐은 아직 없다. 서울성모병원 관계자는 “전공의 복귀 움직임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나머지 빅5 대형병원 상황도 비슷하다. 의료계 내부에서는 대통령 담화 직후 의정 갈등이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을 우려하며 ‘장기전을 준비해야 한다’는 독려 메시지가 공유되기도 했다. 진료공백이 길어지면서 서울대병원은 이날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빅5 병원인 연세의료원, 서울아산병원에 이어 세 번째다. 정부는 인턴과 전공의 근무지 이탈에 따른 의료공백에 대비해 비상진료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좀처럼 의정이 해결책을 찾지 못하는 가운데 대통령이 전공의와의 대화 의지를 밝히면서 대화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전의교협은 윤 대통령을 향해 “젊은이들에게 먼저 팔과 어깨를 내밀고 현장을 떠난 전공의 1만3000명 중 대표 한 명이라도 딱 5분만 안아 달라”고 호소했다.
정작 전공의들은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다. 전공의들은 정부의 ‘집단행동 금지 명령’을 의식하며 “대표가 없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결국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이 결단해야 하지만 박 위원장은 침묵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 전의교협 등과 의견을 나누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증원 전면 백지화 입장은 고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차민주 기자 lal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