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올해 일자리 19만개 창출과 고용률 66% 달성 등을 목표로 일자리정책에 1조9835억원을 투입한다.
부산시는 지역 주도 신성장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2024년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을 수립·공시했다고 1일 밝혔다. 고용률(15~64세) 66% 달성 외에도 청년 고용률 42.3%, 여성 고용률 57.9%, 상용근로자 수 86만6000명 등 지표별 개선 목표를 함께 제시했다.
종합계획은 ‘시민 행복 미래 일자리 중심도시 부산’이라는 비전 아래 ‘빈 일자리 채움 프로젝트’(지역체감 업)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조성’(일터혁신 업) ‘지역경제 활력 제고’(경제활력 업) ‘신성장 일자리 창출’(미래성장 업)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창출’(대상별 업) 등 5대 전략과 22개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시는 지역 산업 특성을 고려한 지역체감형 일자리 프로젝트를 비롯해 4050 채용 촉진, 시니어 적합 직무 채용 등 신규사업을 추진해 일자리 수급 불균형을 해소할 방침이다. 또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한 외국인 근로자 지역 정착 지원사업과 외국 우수인력 비자 전환 사업도 시행한다.
산업재해 전담 조직인 중대재해예방과와 산업안전팀을 통해 지역 사업장 재해 예방과 안전 관리를 지원하고, 열악한 기업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지원책도 펼친다.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첨단 신산업 분야 기업을 전략적으로 유치하고, 부산형 기회발전특구 추진으로 부산만의 차별화된 성장동력을 만든다. 지역기업과 소상공인 금융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자금은 전년에 비해 2200억원 증액된 2조115억원을 지원한다.
신성장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신발·섬유·패션·산업디자인 등 지역 주력산업을 고도화한다. 에코델타시티 그린데이터 집적단지 조성을 통해 디지털 경제 기반 시설을 구축하고, 8인치 전력반도체 양산 제조·패키지 센터와 수소 산업 미래 차 등 신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나선다.
시는 또 계층·대상별 일자리 창출과 청년잡 성장프로젝트 사업, 글로벌 잡 챌린지 프로젝트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