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단체·공공기관도 “탄소 감축 챙깁니다”

입력 2024-04-01 04:06

수출 지원에 주력해온 공공기관과 경제단체가 해외 인재 유치, 탄소 감축, 공급망 불안정 해소 등으로 역할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 첨단산업 인력난과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탈세계화가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떠오르면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코트라는 내년 1월 ‘해외인재유치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안’이 지난해 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설치 근거가 마련된 데 따른 후속 조처다. 센터는 해외 취업박람회 및 사절단을 운영하고 해외 인재 유치에 관한 홍보, 안내, 조사·연구, 민원처리를 담당한다. 한국무역협회는 2023~2027년 5년간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나노 등 국내 4개 신기술 분야에서만 6만여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기업은 탈탄소 규제 대응에도 힘을 보태고 있다. 정부는 2022년 코트라와 한국에너지공단을 온실가스 국제감축 사업 전담기관으로 지정했다. 이에 코트라는 지난해 3월 기존의 기후변화대응팀을 ‘온실가스 국제감축팀’으로 확대 개편했다.해외 무역관을 거점으로 국내 기업과 협력해 해외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공급망 안정화도 주요 업무가 됐다. 코트라는 지난해 6월 ‘소재부품장비산업 공급망센터’를 개설해 대응 중이며 한국기계산업진흥회는 공급망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한다. 무역협회는 공급망 정보를 조사·분석하는 식으로 역할을 분담했다.

코트라 관계자는 “최근 들어 기후위기, 공급망 의제와 관련된 부서의 인기가 높다”며 “시대 변화에 따라 조직의 기능뿐 아니라 구성원들의 선호 부서도 달라지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