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버스노동조합이 28일 총파업 개시 11시간여 만에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의 임금 협상에 전격 합의했다. 버스노조는 파업을 철회했으며, 시내버스 전 노선은 즉시 정상 운행에 돌입했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이날 시청에서 브리핑을 갖고 “시가 27일부터 시내버스 노사 간 임금 협상 합의를 지속적으로 이끌어낸 결과 28일 오후 3시10분부로 협상이 최종 타결됐다”며 “올해 이번 임금 인상안은 대구, 부산 등 타 지역과 동일 수준인 4.48%”라고 밝혔다.
윤 실장은 “명절 등 특수 시기에는 대중교통 연장 운행이 이뤄지는 점을 고려해 명절수당 65만원이 (협상안에) 포함됐다”며 “타결 즉시 모든 시내버스가 정상운행 개시됐음을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앞서 버스노조와 사측은 27일 오후 2시30분부터 이날 오전 2시까지 11시간 넘는 마라톤협상을 이어갔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인력 이탈을 막기 위해 시급 12.7% 인상을 요구해 왔다. 사측은 과도한 요구라고 맞섰다.
결국 노조는 오전 4시부터 총파업에 들어갔으며 오전 10시 기준 시내버스의 90% 이상이 운행을 중단했다. 버스노조의 파업은 2012년 이후 12년 만으로, 당시에는 20분간 부분 파업만 진행됐다.
올해 파업은 출근시간에 이뤄져 많은 시민이 불편을 겪었으며, 전국 고교 연합학력평가 시험일과 겹쳐 혼란이 가중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 노사는 물밑협상 끝에 결국 접점을 찾았다. 윤 실장은 “시민들의 불편, 학력평가와 겹치는 날인 점, 그 부분에 대한 여러 가지 부담이 작용했다”며 “사측도 다른 시도의 실질 임금 상승률에 준하는 쪽으로 한 발 물러서서 노조와 합의를 봤다”고 설명했다.
협상 타결과 동시에 시내버스는 정상 운행을 시작했으며 시는 파업을 대비해 추진했던 비상수송 대책을 즉시 해제했다. 연장 예정이었던 지하철, 전세버스 등 대체 교통 투입은 이뤄지지 않았다.
한편 시는 임금 인상이 버스 요금 인상으로 즉각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 실장은 “임금이 1% 인상될 때마다 110억원 내지 120억원 정도 추가 재정 부담이 발생한다”며 “(이번 임금 인상으로) 600억원 정도 (재정) 부담이 생긴다”고 말했다. 다만 버스 요금 인상 우려에 대해서는 “버스는 아시다시피 지난해 8월 (요금을) 300원 인상한 바 있다. 그래서 당분간 요금 인상에 대한 요인은 바로 도출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