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 : ‘허락하신 새 땅에’ 347장(통382)
신앙고백 : 사도신경
본문 : 여호수아 1장 1~9절
말씀 : 광야 40년 생활이 끝나고 이제는 새로운 걸음을 내딛는 상황입니다. 그동안 이스라엘을 이끌어왔던 지도자 모세는 죽고 하나님은 여호수아를 이스라엘 백성의 지도자로 세웁니다. 의지하고 믿고 따랐던 모세가 없는 상황인지라 백성의 마음은 불안감에 떨 수밖에 없었습니다. 마음이 약해진 이들을 이끌고 이전에 가보지 않은 미지의 세계로 나가야 하는 여호수아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이런 상황 가운데 여호와의 말씀이 여호수아에게 임합니다.
“여호와의 종 모세가 죽은 후에 여호와께서 모세의 수종자 눈의 아들 여호수아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내 종 모세가 죽었으니 이제 너는 이 모든 백성과 더불어 일어나 이 요단을 건너 내가 그들 곧 이스라엘 자손에게 주는 그 땅으로 가라.”(1~2절)
여호수아가 의지할 토대와 대상이 모세가 아닌 하나님임을 분명히 한 본문입니다. 이 말씀을 들었을 때 여호수아는 아말렉과의 전쟁 후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주신 말씀, “이것을 책에 기록하여 기념하게 하고 여호수아의 귀에 외워 들리라”는 말씀이 떠올랐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이미 말씀을 줬지만 다시금 말씀으로 흔들어 깨웁니다. ‘하나님의 열심’을 보여준 것입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이 땅에서 그분의 통치를 따라 정복하며 살아가야 할 우리에게 늘 말씀으로 동행해 주십니다. 하나님의 열심으로 우리를 말씀으로 이끄십니다.
우리의 노력과 열심에 근거한 용기가 아닌,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열심을 믿기에 우리는 믿음 안에서 이 땅을 살아갈 용기를 얻습니다. 더 나아가 하나님은 말씀을 붙들고 나아갈 때 우리의 길을 평탄하고 형통케 하십니다.(8~9절)
본문의 ‘평탄’은 히브리어로 ‘찰라흐’로 ‘앞으로 돌진하다’ ‘건너간다’는 뜻입니다. 의역하면 ‘뚫고 나가는 힘’이나 ‘돌파하는 힘’으로 해석됩니다. 또 본문 속 ‘형통’은 히브리어로 ‘샤칼’입니다. ‘신중하다’나 ‘숙고하다’, ‘현명하다’는 뜻입니다. 이를 의역하면 ‘심사숙고하는 분별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붙들 때 주님은 우리가 처한 상황 속에서 형통과 평탄, 즉 분별하는 힘과 돌파하는 힘을 주십시다. 이 힘으로 우리에게 용기를 불어넣어 앞으로 나아가게 도와줍니다.
오늘 하루도 하나님의 말씀에 깊이 뿌리 내려 여호와의 열심을 힘입는 용기를 갖고 나아가길 바랍니다. 하나님께서 허락하는 형통과 평탄을 누리는 하루 되길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기도 : 주님, 오직 우리가 의지해야 할 것은 하나님의 말씀임을 기억하게 하소서. 이 말씀에 깊이 뿌리 내려 우리를 향한 여호와의 열심을 힘입게 하소서. 또 믿음 가운데 용기 있게 나아갈 때 하나님께서 허락해주는 형통과 평탄도 누리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주기도문
신종철 목사(고양 주님의교회)
약력=총신대학교 신학과, 신학대학원(M.Div.) 전 분당우리교회 주일학교 디렉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