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어린이 4명 중 1명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3.1%로 전년 대비 0.5% 포인트 줄었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이용해 일상에서 스마트폰이 가장 우선시되고 이용량을 조절하기 어려워지며 신체·심리·사회적 문제를 겪는 상태다.
연령대별로는 만 3~9세 유아·아동의 지난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전년보다 1.7% 포인트 감소한 25.0%로 집계됐다.
만 10~19세 청소년은 전년과 같은 40.1%였다. 만 20~59세는 0.1% 포인트 줄어든 22.7%였으며, 60대는 1.8% 포인트 감소한 13.5%로 조사됐다.
온라인 동영상 이용자 73.5%는 1분가량의 영상 콘텐츠 ‘숏폼’을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숏폼 이용자 23.0%는 이용시간 조절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36.7%)이 숏폼 이용시간 조절에 가장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1만 가구에 대한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