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의 공식 선거운동이 28일 0시 시작됐다. 각 정당은 총선 전날인 4월 9일까지 13일 동안 열전을 펼칠 예정이다.
특히 거대 여야는 아직까지 투표할 정당을 정하지 못한 무당(無黨)층을 잡기 위해 혈투를 벌일 전망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22일 공개한 여론조사에서 무당층은 18%로 조사됐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8일 0시 서울 송파 가락시장에서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했다. 집권여당으로서 물가와 민생경제를 챙긴다는 의미를 부각시키겠다는 의도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인천 계양역 출근인사 및 계양구 유세차 순회를 마친 뒤 오전 10시 용산역 광장에서 선거운동을 개시할 예정이다. 대통령실이 있는 용산을 첫 선거운동 장소로 삼은 것은 ‘정부 심판론’을 강조하겠다는 포석이다.
선거운동 기간 후보들의 말실수나 막말 논란, 의대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사단체 간 갈등 향방 등이 판세를 좌우할 주요 변수로 꼽힌다.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 격전지인 서울(21%)과 인천·경기(19%) 등 수도권의 무당층은 평균치를 웃돌았다. 여야는 무당층을 잡기 위한 경쟁에 돌입했다. 국민의힘은 무당층 마음을 잡기 위해 ‘집권당 프리미엄’을 내세우고 있다. 또 ‘명·국(이재명·조국) 심판론’을 들고 나왔다.
민주당은 ‘정부 심판론’에 올인하는 분위기다. 민주당은 출생기본소득과 반값등록금,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등 ‘기본 사회보장 공약’을 발표하며 정책 분야에도 신경 쓰고 있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무당층은 특히 악재에 대한 반응이 빠르다”며 “선거운동 기간 여야에서 문제점 같은 것이 터져 나오면 마음을 쉽게 바꿀 수 있다”고 지적했다.
27일부터 엿새간 전 세계 115개국(178개 재외공관)에서 해외 거주 유권자 14만7989명의 투표(재외투표)도 이뤄지는 등 사실상 총선은 시작됐다. 노태악 중앙선관위원장은 입장문에서 “금품수수나 매수, 허위사실 공표 등 선거 질서를 해치는 중대 선거범죄에 신속하고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선 이택현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