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10년… 세월호 유가족 “안전사회 더 멀어져”

입력 2024-03-28 04:05
27일 서울 종로구 4.16연대 사무실에서 열린 세월호참사 10주기 기자간담회에서 김종기 공동상임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이 참사 10주기를 앞두고 국가의 공식 사과와 추가 진상 규명을 정부에 요구했다.

4·16 세월호참사 10주기위원회는 27일 서울 종로구 4·16연대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세월호 같은 참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책임자 처벌을 위한 독립 상설 조사기구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태원 참사와 오송지하차도 참사 등 사회적 재난이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며 “안전사회 실현이 더 멀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단원고 2학년 9반 고(故) 진윤희양의 어머니 김순길 10주기위원회 공동상임위원장은 “10년간 진상 규명 및 책임자 처벌과 안전한 사회를 외치면서 많은 시민을 만났다”며 “그동안 멈추지 않은 것은 또 다른 재난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사회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래군 10주기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4·16재단 상임이사)은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에서 세월호 참사를 조사할 수 있는 사람은 30명밖에 안 됐다”며 “특별조사위원은 각 정당의 이해관계나 소속 부처를 신경 쓰기에 급급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독립된 상설 조사기구 설립을 포함한 생명안전기본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보유한 자료를 바탕으로 추가 진상조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태호 10주기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은 “대통령 기록물은 봉인돼 있고, 국정원도 세월호 사건 자료의 일부만 공개했다”며 “비공개된 자료를 전부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10주기위원회는 다음 달 16일 전후로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억식과 기억문화제를 진행하고, 사진전과 문화예술작품 공모전 등 문화행사도 열 계획이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