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권이 ‘상업지역 총량제’ 제외 지역으로 재탄생한다. 상업지역 총량제란 2030년까지 지역별로 총량을 정하고 그 범위 안에서 상업지역을 지정하는 제도다.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면 총량제와 상관없이 강북권에서 상업시설을 유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도봉구 창동, 노원구 상계동, 중랑구 신내차량기지 이전부지 등 강북권 내 대규모 유휴부지에는 ‘균형 발전 화이트사이트’를 최초로 도입할 예정이다. 화이트사이트는 사업시행자가 원하는 용도와 규모로 개발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도다. 노원구 상계·중계·월계동의 30년 넘은 노후 아파트 단지는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이 가능하도록 규제가 풀린다.
오세훈 시장은 26일 서울시청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권역별 도시 대개조 프로젝트 ‘강북권 대개조-강북 전성시대’를 발표했다. 노후 주거지, 상업지역에 대한 규제 완화와 파격적인 인센티브 부여로 개발을 활성화하고, 대규모 유휴부지를 첨단산업과 일자리 창출 거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오 시장은 서울 전체 면적의 40%(242㎢)를 차지하고 서울 인구의 43%(448만명)가 거주하는 강북권역(동북·서북)을 ‘일자리 중심의 신경제도시’로 재탄생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앞서 오 시장은 올해를 ‘서울 도시공간 대개조 원년’으로 선언하고 지난 2월 서남권 대개조 구상을 발표한 바 있다.
균형발전 화이트사이트 적용 대상은 강북권 내 대규모 공공·민간 개발 부지다. 해당 지역에 일자리 기업 유치가 의무화되는 대신 최대 상업지역으로의 종상향과 용적률 1.2배, 허용 용도 자율 제안, 공공기여 완화(60→50% 이하) 등이 적용된다.
일부 부지는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된 상태다. 창동·상계동 일대는 첨단기업과 대규모 문화시설이 들어선다. 창동차량기지 이전부지(25만㎡)는 Bio-ICT 산업클러스터로, NH농협 부지(3만㎡) 일대는 주거·판매 시설로 조성될 계획이다. 신내차량기지 이전부지(19만㎡), 중랑공영차고지(6만㎡), 면목선 차량기지(2만㎡) 등은 통합 개발돼 첨단산업지구, 일반업무지구, 문화시설, 주거 등 기능을 담은 복합도시로 변화할 예정이다.
노후한 상계·중계·월계 등 대단지 아파트는 신도시급으로 변화한다. 30년 넘은 단지는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 착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정비계획 입안 절차와 신속통합자문을 병행해 사업 기간을 1년가량 단축할 계획이다. 역세권을 준주거지역으로 종상향하고, 공공기여 비율도 기존 15%에서 10%로 축소한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