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대 교수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2000명 철회를 요구하며 25일 일괄 사직서 제출에 들어갔다. 40개 의대 교수 대부분이 무더기 사직서 제출에 동참하면서 의료공백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날 각 의대 상황을 종합하면 전국 40개 의대 대부분에서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거나 제출 결의를 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의한 입학 정원과 정원 배정 철회가 없는 한 위기는 해결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방재승 서울대의대 교수협 비대위원장은 “(서울대의대 교수 설문조사에서) 900여분이 답변을 했고, 그 중 절반 이상이 사직서를 제출한다고 답장을 줬다”며 “상당히 많은 수의 교수들이 제출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우경 비대위 언론대응팀장(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은 “사직서 제출은 (교수들이) 정말 사직하려는 마음으로 낸 것”이라며 협상에 따라 뜻이 번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오전 고대의료원 산하 3개 병원(안암·구로·안산)의 전임·임상 교수들도 온라인 총회를 열고 단체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밖에도 서울아산·울산대·강릉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두고 있는 울산대의대 교수 433명도 사직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연세대의대 역시 교수들이 단체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의대 증원 철회를 요구했다.
전의교협과 별개 단체인 전국의과대학교수 비대위는 성명을 통해 사직서 제출에 나서겠다고 했다. 성명에는 강원대, 건국대 등 19개 대학이 참여했다.
의대 교수들은 사직서를 제출하더라도 수리되기 전까지는 근무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전공의 공백을 메우는 데 한계를 맞고 있다며 주 52시간 이내 근무시간 단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조윤정 전의교협 비대위 홍보위원장(고려대 의대 교수)은 브리핑에서 “교수도 사람이고 의사도 사람인데 안타까운 일이겠지만 돌아가시는 분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수들이 (전공의 행정처분 등) 조건을 걸고 진료 축소를 한 게 아니다”며 “전공의가 (병원으로) 들어와야 진료 축소를 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개원의가 상급종합병원에서도 진료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에 협조를 요청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보건의료 재난위기 ‘심각’ 기간 동안 개원의가 의료기관 밖에서 의료행위가 가능하도록 지자체에 안내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는 이날부터 약 60개 의료기관 군의관 100명, 공보의 100명 등 200명을 추가로 파견한다.
차민주 김용현 기자 lal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