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지원금 30만원대로 올렸지만… 고가요금제 써야 최대치

입력 2024-03-25 04:04

이동통신사들이 번호이동을 통해 확보한 가입자들에게 주는 전환지원금 최고액을 최근 3배 가까이 올렸다. 정부 압박에 화답한 모습이지만 실효성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기존 할인 혜택을 대체할 만한 선택지로 보기 힘든 데다 최대 지원액을 받으려면 고가 요금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2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는 전날 전환지원금으로 3만∼33만원을 책정했다. 가장 먼저 전환지원금을 확대한 LG유플러스는 갤럭시 S24 시리즈와 Z플립5·폴드5, S23 시리즈, 아이폰15 프로 등 단말기 11종에 대해 3만∼30만원을 지원키로 했다. KT는 단말기 15종에 요금제에 따라 5만∼33만원을 지원한다. SK텔레콤은 단말기 16종에 대한 전환지원금으로 13만2000∼32만원을 책정했다.

연이은 정부의 압박이 통한 모습이다. 전환지원금 지급 첫날인 지난 16일 이통사들이 책정한 전환지원금이 3만~13만원에 그치자 소비자들의 불만이 쏟아졌다. 이에 지난 21일 이상인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은 현장 점검에 나서 ‘정부 방침 협조’를 당부했다. 그다음 날엔 김홍일 방통위원장이 이통 3사와 삼성전자, 애플코리아 대표자 등을 만나 가계 통신비 절감 협조를 주문했다.

그러나 가입자가 전환지원금을 받으려면 기존 장기가입 할인과 가족결합 할인 혜택을 모두 포기해야 한다. 이를 감수할 만큼의 지원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최대액 지원을 받기 위해선 월 10만원 넘는 초고가 요금제를 써야 한다. 이마저도 삼성전자의 최신 프리미엄 기종인 갤럭시 S24에 대한 지원은 소액에 그쳤다.

방통위는 전환지원금을 구성하는 요소별 상한액을 정하고 이 범위에서 이통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명확한 산출 근거 없이 최대 50만원 지원이라는 수치를 발표해 시장 기대감만 자극했다는 비판은 끊이지 않는다. 방통위 관계자는 “통신사와 협의를 거쳐 50만원이라는 금액이 책정됐다”면서 통신사간 마케팅 경쟁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