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지구 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탄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35% 감축키로 했다.
구상 충남도 기후환경국장은 21일 충남도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메탄은 대기 중 체류시간이 짧지만 이산화탄소에 비해 온난화지수가 28배 높아 지구 온난화 원인의 30%를 차지한다”며 메탄 감축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충남지역 메탄 배출량은 2021년 기준 355만2000t으로 전국 상위권이다. 농축산업이 299만6500t(84.3%)으로 가장 많고, 폐기물 42만1600t, 산업공정 및 제품 생산 10만900t, 에너지 3만2600t 등이 뒤를 이었다. 농축산업의 분야별 메탄 발생 원인은 벼 재배가 38%로 가장 높았고, 소-장내 발효(26%), 가축분뇨(20%), 매립(9%), 하·폐수·분뇨(3%) 순으로 나타났다.
도는 분야별 감축 전략을 통해 메탄 발생량을 2021년 355만2000t에서 2030년 230만9000t으로 35%(124만3000t) 줄인다는 계획이다.
먼저 농축산업 분야에서는 저탄소 영농기술 확대 적용, 규산질 비료 사용 확대, 저메탄 사료 보급 확대 등의 전략을 추진한다. 폐기물 분야에서는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 포집, 소각시설 증설 등을 통해 메탄 감축에 나선다. 에너지·산업 분야에서는 산업공정 탈루성 메탄 관리 추진, 산업 밀집 지역 온실가스 측정망 확충 등의 전략을 펼친다.
도는 또 축산분뇨와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하는 메탄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등 메탄 포집 활용 전략을 추진한다.
우선 축산단지 집적화를 통해 연간 3942t의 메탄을 포집해 3540t의 수소를 생산하고, 7만4000t 규모의 온실가스 감축할 계획이다. 음식물이나 분뇨를 처리하는 환경기초시설에서도 메탄을 활용한 수소 생산에 나선다.
도는 메탄 감축 TF와 자문단을 운영해 상반기 내 로드맵을 수립하고, 관련 국가 지원과 정책과제를 발굴해 건의할 예정이다.
구 국장은 “미래 세대가 누릴 수 있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