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보업계 위기… 연금·제3보험으로 성장 모색”

입력 2024-03-20 04:02

김철주(사진) 생명보험협회장이 손해보험사의 영역으로 여겨지는 ‘제3보험’ 시장에서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 과정에서 판매 과당경쟁·절판 마케팅을 지양하고 공정경쟁 여건을 마련하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19일 서울 종로구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 취임 100일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김 회장은 “(생보업계가) 시장포화로 성장이 정체되고,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엄중한 환경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경영, 상품, 채널, 신사업 등 4대 전략과 8개 핵심 과제를 담은 ‘생명보험 산업 성장 전략’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생보협회는 연금시장에서 역할 강화와 제3보험 경쟁력 확보에 강조점을 뒀다. 급속한 고령화로 사적연금 수요가 확대되고 금융업권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지만 생보업계 입지는 점차 위축되고 있는 처지다. 김 회장은 “연금시장에서 생명보험만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과 상품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제3보험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상품 개발의 유연성을 확대하고 소비자 수요가 높은 신규 담보 발굴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제3보험으로는 실손의료보험 건강보험 암보험 어린이보험 간병보험 등이 꼽힌다. 생보협회 관계자는 “그간 생보업권은 수익성이 높은 종신보험에 의존도가 높았으나 최근 수요가 감소해 종신 이외에도 제3보험 비중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며 “제3보험 시장은 연평균 7%의 고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손보업권의 점유율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등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생명보험산업을 위한 4대 성장 전략을 펼치는 과정에서 단기납 종신보험과 같이 일부 상품의 판매 과당경쟁, 절판 마케팅을 지양하겠다”며 “공정경쟁 여건을 마련해 건전한 모집 질서와 소비자 보호·신뢰가 확고히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생보협회는 새로운 수익원 창출을 위해 헬스케어, 실버주택, 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다각적인 사업모델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또 포화한 국내 시장을 벗어나 해외 진출도 적극적으로 모색할 계획이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