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소방관 2명이 순직한 경북 문경 공장 화재 사고의 원인은 전기튀김기 온도제어기의 불량 때문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온도제어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식용유가 발화점(383도) 이상으로 가열돼 불이 났으며, 이 불은 식용유 저장 탱크에 옮겨 붙었고 공장 전체로 빠르게 확산됐다.
특히 사고 발생 이틀 전 공장 관계자가 화재 수신기의 경종을 강제 정지시킨 탓에 불이 크게 확산된 뒤에야 뒤늦게 신고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소방관 순직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가연성 가스 폭발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관들은 공장 관계자의 대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양방향에서 진입하며 출입문을 개방했고, 고온의 가스가 이때 유입된 공기와 만나 폭발한 것이다.
소방청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경북 문경 소방관 순직 사고 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해당 공장은 화재에 취약한 샌드위치패널(아연·불소 코팅을 한 강판 사이에 충진재를 넣어 만든 것) 구조였으며, 이 때문에 화재가 급격히 확대됐다.
화재 진압 절차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던 점도 드러났다. 현장에 도착한 소방관 4명은 인명 구조를 위해 건물 양방향으로 진입했다. 공장 구조상 ‘구획 화재’ 진압 절차에 따라 한쪽 방향에서 진입한 뒤 가연성 가스 등을 먼저 제거해야 했지만, 이런 절차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던 것이다.
가스 폭발 이후 소방관 4명 중 2명은 창문을 깨고 탈출했으나 순식간에 밀려 나온 강한 열과 농연, 붕괴된 천장 등의 장애물로 나머지 2명은 고립됐다. 결국 김수광(27) 소방장과 박수훈(35) 소방교가 탈출하지 못하고 목숨을 잃었다.
소방청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현장 정보 전달 능력을 개선하고 안전사고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했다. 현장 필수 정보를 신속하게 전파하기 위해 모바일 전파 등 예방정보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다. 장비 착용시에도 통신이 용이하도록 무전 송·수신 기능도 강화한다. 또 대원 안전사고 발생 즉시 신속동료구조팀(RIT)이 운영될 수 있도록 별도 RIT팀을 동시에 편성하도록 했다. 건축구조 및 시설물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주요 대상물 이상 유무를 모니터링하고, 화재위험성이 큰 식용유 취급 기계 및 설비에 대해서는 제조 단계부터 안전 기준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국가기술표준원과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샌드위치패널 건축물의 내화 시간, 방화 구획 등 안전 기준을 국토교통부와 협의를 통해 강화할 계획이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