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오는 18일 사직서 제출을 예고하고 연대 의대 교수들도 집단행동을 위한 교수 비상대책위원장을 11일 선출했다. 빅5 대형병원 등 의대 교수들이 ‘사직 카드’를 내걸고 정부에 사태 해결에 나설 것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처분은 불가역적’이라던 정부는 “행정처분 전 복귀한 전공의에 대해 선처하겠다”며 유화 제스처를 연일 취하고 있다.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대위는 11일 서울대 연건캠퍼스,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에서 총회를 열고 집단행동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방재승 비대위원장(분당서울대병원 교수)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사태 해결에 진정성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18일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합의했다”며 “사직서는 개별 제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는 430명이 참석했다.
전공의가 병원을 이탈하면서 현재 전임의와 교수들이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을 지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수마저 병원을 떠나면 의료 공백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 다만 당장 사직서가 수리될 가능성은 없다. 앞서 정부는 전공의 사직서에 대해서도 ‘1개월 전 의사를 밝혀야 계약 해지 효력이 발생한다’고 해석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비대위도 자율적으로 외래 진료를 줄이면서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은 지킨다는 입장이다.
다른 병원들도 집단행동에 속도를 낼 가능성이 커 보인다. 방 위원장은 “지난 주말 ‘빅5’ 중 4곳 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들이 만나 향후 연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연대 의대 교수협의회도 집단행동을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성균관대 의대는 12일, 가톨릭의대 교수협의회는 이번 주 중 회의를 연다.
한편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절차가 완료되기 전 복귀하는 전공의는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주호 사회부총리가 직접 나서서 휴학 신청을 한 뒤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의대생(의대협 대표)과의 대화를 제안했다. 동료로부터 비난받는 병원 내 전공의들을 위한 보호·신고센터도 운영한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