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념적으로 편향된 주장을 하거나 진실을 호도하는 행위는 갈등을 조장하고 사회를 분열시키기에 반드시 지양돼야 한다. 특히 편향된 주장과 왜곡을 일삼는 사람은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시각이 요구되는 공직자 자리에 있어선 안 된다. 그들이 영향력이 큰 자리에 앉아 치우친 목소리를 내면 사회가 더더욱 쪼개질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총선 공천 과정에서 그런 우려를 자아내는 인물들이 걸러지지 않은 것은 퍽 유감스럽다.
더불어민주당·진보당·새진보연합 등의 범야권 통합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의 비례대표 1번 전지예 후보가 대표적이다. 전 후보는 한·미 연합훈련 반대 시위를 벌여온 ‘겨레하나’에서 간부로 활동했고, 최근까지도 각종 시위 활동을 해왔다. 이 단체는 지난주에도 성명을 내 전반기 한·미 연합연습 ‘프리덤 실드(FS)’ 중단, 미 전략자산 전개 반대 등을 촉구했다. 북의 침공을 가정한 기본적 방어훈련조차 하지 말라거나 북의 핵 위협에 맞설 미 전략자산 전개를 반대하는 건 북의 주장이나 다름없다. 전 후보 외에도 이 위성정당 후보 중에는 사드 배치 반대 시위를 주도했거나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을 옹호해온 인사 등도 있어 향후 국회를 이념 대결의 장으로 끌고 가지 않을까 우려된다.
민주당이 인천 부평을에 천안함 폭침 원인과 관련해 북의 소행이 아닐 수 있다는 주장으로 논란을 일으킨 박선원 전 국가정보원 차장을 공천한 것도 부적절하긴 마찬가지다. 박 전 차장은 2010년 미국의 한 연구원에 있을 때 “천안함 사건은 과거 우리 측이 깔아놓은 기뢰를 격발시킨 게 아닌가” 등의 발언을 해 파문을 일으켰다. 천안함 피해자 유족은 그를 국회의원 후보로 중용한 것 자체가 상처를 후벼파는 일이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국민의힘이 대구 중구·남구에 북한군의 5·18 민주화운동 개입설을 공공연하게 주장해온 도태우 변호사를 공천한 것도 시대적 흐름에 역행한다. 도 변호사는 “국가를 좀먹는 5·18 신화화에 도전한다” “5·18은 자유민주적 요소가 있지만, 북한 개입 여부가 문제 된다는 게 상식이다” 등의 주장을 펴온 인물이다. 도 변호사 공천에 비판이 쏟아지자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뒤늦게 당 공천관리위원회에 그의 공천을 재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공천 취소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다른 당들도 편향성 시비가 불거진 인사들에 대해선 이제라도 공천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