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의대 학장단 “길 안보여” 전원 사퇴서… 충북의대·병원 교수들 “전공의 처벌 땐 사직”

입력 2024-03-08 04:06 수정 2024-03-08 04:06
대구의 한 대학병원 의료진이 7일 병원 내 다른 병동으로 이동하고 있다. 전국 각 지역 의대 교수들은 학교의 의대 증원 신청에 반발해 보직 사퇴 등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전국 각 지역 의대 교수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과 학교의 의대 증원 신청에 반발해 보직 사퇴 등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가톨릭대 의과대학 학장단은 7일 대학본부의 의대 증원 신청을 막지 못한 책임을 지겠다며 전원 사퇴서를 제출했다. 정연준 학장은 입장문을 통해 “100% 증원은 주요 의과대학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전원 휴학 및 유급의 사태를 막을 길이 보이지 않는다”며 “예과 1학년은 전원 유급이고 내년에는 현 정원의 3배수가 동시에 수업을 받아야 하기에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충북대의대·충북대병원 교수 160여명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전공의들에 대한 처벌이 진행되면 교수들도 함께 사직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대위는 기자회견에서 “교수들의 존재 이유인 제자들이 불합리한 정부 정책으로 인해 학교와 병원 밖으로 내쫓겼다”며 “학생과 전공의들에게 사법절차가 진행된다면 우리는 망설임 없이 투쟁을 시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충북대가 의대 증원 신청을 한 것에 대해서도 강력 반발했다. 비대위원장을 맡은 배장환 심장내과 교수는 “(증원 신청한) 250명 의대생을 가르치려면 1970년대 국민학교 수업처럼 오전반 오후반으로 나눠서 강의해야 하는데 이는 풀빵 찍어내듯이 의사를 양성하는 것”이라며 “의대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어떠한 합의 과정 없이 독단적으로 증원을 결정한 것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경상국립대 의대도 전날 보직 교수 12명 전원이 보직 사직원을, 보직이 없는 교수 2명은 사직서를 제출했다. 영남대 의대 교수협의회 역시 성명을 통해 “수련의, 전공의, 의대생의 피해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모든 사태의 책임은 현 정부에 있다”고 비판했다.

원광대 의대 교수 전원도 성명서를 내고 “사직서를 제출한 전공의들과 휴학계를 제출한 의대생들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정당한 주장을 하는 이들에게 어떠한 피해가 발생한다면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울산의대 교수협 비대위는 이날 이번 사태에 대한 심각성을 표명하기 위해 총회를 열고 구체적인 단체행동 착수 여부와 형태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들은 사직서 제출과 겸직 해제뿐 아니라 정부를 국제노동기구(ILO)에 제소하는 것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