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사진) 전 미국 대통령은 공화당 경선에서 연전연승하며 조기에 대선 후보가 됐지만 압도적이었던 여론조사보다 실제 득표율은 낮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여론조사에 잡히지 않는 ‘샤이 반트럼프’ 공화당 지지자들이 상당수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슈퍼 화요일 이전까지 열린 공화당 주요 경선에서 트럼프의 득표율이 여론조사 전망치를 밑돌았다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시간주의 경우 트럼프는 여론조사에서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를 56.9% 포인트 차이로 이길 것으로 전망됐지만 실제 경선에선 격차가 41.5% 포인트였다. 아이오와에서도 전망치 격차(34.0% 포인트)가 실제 격차(29.8% 포인트)에 못 미쳤다. 사우스캐롤라이나(전망치 격차 27.6% 포인트, 실제 격차 20.3% 포인트)와 뉴햄프셔(전망치 격차 17.6% 포인트, 실제 격차 11.1% 포인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버몬트주에선 경선 직전 트럼프가 30% 포인트 차이로 이길 것으로 예측됐으나 막상 경선에선 헤일리(50%)가 트럼프(46%)를 눌렀다.
이 같은 경선 결과는 샤이 반트럼프 유권자층이 두텁게 존재한다는 가설을 성립시킨다. FT는 “이들은 공화당 텃밭으로 여겨지는 부유한 대도시 교외지역 백인 유권자들로 보인다”며 “낮은 세금과 규제 완화를 선호하는 이들은 트럼프의 변덕스러운 행태와 민주주의적 기준에 대한 부정 등을 혐오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11월 대선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표를 던질 경우 현재 ‘트럼프 리드’로 나오는 여론조사들은 틀린 것으로 판명날 수 있다고 FT는 관측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