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가 고립·은둔 청소년의 실태를 파악해 가족 관계를 회복하고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전국 14만명으로 추정되는 은둔 청소년을 발굴해 지원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여가부는 제22차 청소년정책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고립·은둔 청소년 발굴 및 지원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6일 밝혔다. 우선 올해 5월 고립·은둔 청소년의 생활실태,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전국단위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한다. 대상은 9~24세 청소년 중 고립·은둔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다. 여가부는 온라인 조사를 한 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에게 필요한 정책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고립·은둔 청소년 원스톱 패키지’ 시범사업도 시작한다. 여가부는 이달부터 전국 12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센터)를 중심으로 상담, 치유, 학습, 가족관계 회복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꿈드림센터에 정보가 연계됐지만 3개월 이상 센터에 등록하지 않거나 이용하지 않은 청소년은 2022년 기준 약 1만6000명이다. 우선 이들을 대상으로 전담 상담사가 고립·은둔 여부를 확인하고, 고립·은둔이 맞으면 지원체계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자살이나 자해 위험이 있으면 인근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집중심리클리닉이나 치료기관을 연계할 방침이다. 또 지난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개발한 ‘은둔 청소년 스크리닝 척도’를 활용, 고립·은둔 수준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필요할 경우 일대일 전담 사례 관리사가 가정을 방문해 상담한다.
또 경제적으로 취약해 도움이 필요한 은둔형 청소년의 경우 생활비(월 65만원 이하), 치료비(연 200만원 이하), 자립지원(월 36만원 이하), 법률지원(연 350만원 이하) 등을 제공한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고립 청소년이 14만명으로 추정되는 등 고립·은둔 현상이 사회적 문제로 확산하고 있다”며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이들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차민주 기자 lal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