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 복귀 거부… 거리 나선 의사

입력 2024-03-04 04:08
전국의사 총궐기대회 집회가 열린 3일 서울 여의대로에서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는 의사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최현규 기자

정부가 전공의 복귀 데드라인을 3일까지 연장했지만 의사들은 병원 복귀 대신 거리 집회를 택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 사직 사태가 14일째 이어지며 복귀 촉구 여론도 커지고 있다. 4일부터 정부 처분이 본격화하면 의사들의 단체행동이 더 강경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3일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 “정부가 전공의들의 의료 현장 복귀를 요청한 지 3일이 지났지만 대부분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공의 이탈 비중이 높은 서울 ‘빅5’ 대형병원에서도 전공의 복귀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지난달 29일 기준 현장에 복귀한 전공의는 565명으로 전체의 6.3%에 그쳤다. 의대생 휴학은 지난 2일 기준 5385건(28.7%)이다.

정부는 데드라인을 애초 지난달 29일에서 휴일을 포함해 이날까지 연장하며 복귀를 호소했다. 이번 주부터는 전공의뿐 아니라 계약 종료된 전임의 이탈도 가시화될 수 있다. 의료 공백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지만 의사들은 병원으로 돌아오는 대신 거리 집회에 나섰다.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는 의사들이 3일 서울 여의대로에서 한쪽을 가득 메운 채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열고 있다. 이들은 '의료계와 합의 없는 의대 증원 결사반대' 등의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집회에는 주최 측 추산 4만여명이 참여했다. 최현규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에서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패키지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주최 측 추산 4만명(경찰 추산 1만2000명)이 참여해 정부를 규탄했다. 김택우 의협 비대위원장은 “정부가 (의사를) 탄압하려 든다면 강력한 국민적 저항에 부딪히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4일부터 전공의에 대해 면허정지 등 행정처분 절차와 함께 의료법 위반 사법 절차도 밟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1일 의협 전·현직 간부 5명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한 경찰은 이날 4명에 대해 출국 금지를 요청했다. 정부는 대학별 배정 작업 등 후속 조치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4일까지 의대가 설치된 40개 대학으로부터 의대 증원 규모 수요조사를 받은 뒤 배정에 나선다. 교육부 관계자는 “마지막으로 증원(1998년)한 지 20년이 넘은 점을 생각하면 이번에 신청하지 않은 대학들은 (다음 증원까지) 반세기를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권중혁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