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증원 신청 마감이 4일로 다가오면서 대규모 증원도 가능하다는 대학 본부와 이를 반대하는 의대 교수들 사이 갈등이 커지고 있다. 교육부가 미신청 대학은 증원 대상에서 제외하겠다고 밝힌 만큼 수요조사에서 대학들은 대규모 증원 규모를 써낼 것으로 보인다.
3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거점 국립대 의대들은 증원 규모를 지난해 11월 제출한 수요조사 수준과 동일하거나 더 많은 인원을 써내는 쪽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대는 현재 110명 정원에서 250~300명까지 늘리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강원대 역시 지난번 수요조사 당시처럼 51명을 증원한 100명의 정원을 신청하는 것으로 방향을 정했다. 김헌영 강원대 총장은 “지난주 의대와 논의했고, 내일 논의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원이 76명인 경상국립대도 지난번 수요조사 당시 제출한 규모(200명)로 증원을 신청할 예정이다.
반면 의대 교수가 총장인 전남대의 경우 증원에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정성택 전남대 총장은 “근본적으로 의료 인력 수급에 대한 방법이나 절차가 맞는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먼저 이어가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대학 본부는 지역 의료를 담당할 의사 양성 규모까지 고려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권순기 경상국립대 총장은 “경남의 의사 배출 수는 전국 평균보다 훨씬 적고, 다른 곳에 비해 의료 취약지구가 많다”며 “경남 의료 서비스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대책도 고려해 증원 규모를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가 국립대 의대 교수를 2027년까지 1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한 데다 수련 교육에 전폭 투자하겠다고 밝힌 만큼 대학들은 의대 증원이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반면 의대 학장들은 수요조사 제출 자체에 반발한다. 정원 규모를 2~3배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경북대의 경우 의대 교수회가 반대 성명을 내기도 했다. 교수회는 “경북대 총장은 의학교육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의대 입학 증원 안을 당장 거부하라”고 요구했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적정 증원 규모가 350명이어야 한다며 각 대학에 수요조사 제출 거부를 요청했다. 이종태 KAMC 정책연구소장은 “총장과 학장의 뜻이 전혀 다른 곳이 많다”며 “전공의 복귀 문제나 의대생 휴학 등 문제를 먼저 해결하고 난 다음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4일까지 신청하지 않은 대학의 의대 정원은 임의로 늘려주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김유나 차민주 이가현 김재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