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23년 만에 ‘디플레 탈피’ 선언 검토”

입력 2024-03-04 04:03
지난 1일 일본 도쿄의 한 건물에 니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가 표시된 전광판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이날 닛케이 지수는 전날보다 1.90%(744.63) 오른 3만9910로 장을 마치며 4만 선에 가까워졌다. EPA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23년 만에 ‘디플레이션(경기 침체를 동반한 물가 하락) 탈피’를 선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교도통신이 2일 보도했다. 디플레이션 종료 여부는 봄철 노사 간 임금협상인 ‘춘투’ 결과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정부가 현재의 물가 상승 추세를 고려해 디플레이션 탈피 선언을 검토하는 것으로 복수의 관계자를 통해 확인됐다”며 “기시다 후미오 총리, 혹은 관계 각료가 기자회견에서 직접 표명하거나 경기 동향 관련 월례 경제보고에 명기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가 디플레이션 탈피를 표명한다면 안정적인 성장을 23년간 방해한 족쇄가 풀렸음을 공식화하게 된다”며 “춘투에서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는 임금 인상률을 포함한 여러 경제 지표를 근거로 판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정부는 2001년 3월 월례 경제보고 자료에서 “완만한 디플레이션에 있다”고 처음으로 인정했다. 일본 경제는 1990년 전후 ‘거품 붕괴’로 저물가와 저성장으로 돌아섰고, 정부의 디플레이션 인정 이후에도 23년간 기업 실적 악화, 임금 상승 정체, 소비 부진의 악순환에 빠졌다. 하지만 지난해 일본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3.1% 올라 1982년 이후 41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올해 1월에도 2.0% 상승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최근 물가 동향에 대해 “디플레이션이 아닌 인플레이션 상태에 있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도 지난달 22일 닛케이225 평균주가가 1989년 12월의 최고가를 돌파하자 “일본 경제가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