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에서도 공천 결과를 둘러싼 잡음이 커지고 있다.
울산 3선의 이채익 의원은 28일 울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황야에서 시민의 뜻에 따라 정치적 결단을 하겠다”며 탈당 후 무소속 출마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의원 지역구인 울산 남갑은 울산에서 유일하게 공천 방침이 정해지지 않았다.
이 의원은 공천관리위원회의 현역의원 평가에서 컷오프 대상인 ‘하위 10%’에 들어가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공관위가 울산 지역 중 남갑에 대해서만 공천 방식을 정하지 않자 이 의원을 컷오프하고 국민추천제로 후보를 공모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이 의원은 “선출직 공인의 선출 절차가 사전에 공지된 대로 진행되지 않고 흥행몰이 식으로 가는 데 동의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공관위가 공천 탈락자를 재배치하거나 ‘쪼개기 후원’ 의혹을 받는 전현직 의원의 공천 문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중잣대를 들이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서울 영등포을 경선을 포기한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이 주로 거론된다.
장동혁 사무총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 브리핑에서 “좀 더 경쟁력 있는 후보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지역에 가서 마지막까지 함께해 주면 좋겠다”고 박 전 장관 재배치론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박 전 장관이 부산 북·강서갑에서 18·19대 재선을 한 만큼 당 안팎에서는 박 전 장관이 부산 지역구에 재배치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다만 당 일각에서는 수많은 공천 탈락자 중 특정 인사만 재배치를 논의하는 건 특혜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는 이유로 경기 고양정 공천이 취소된 김현아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현역의원과 원외의 차별이 있다”고 주장했다. 현역인 태영호 의원 역시 기초의원으로부터 대가성 후원금을 받았다는 의혹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를 받고 있지만 공관위가 태 의원의 서울 구로을 공천을 유지키로 한 것을 비판한 것이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