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의대를 운영하는 대학 40곳 총장을 불러모아 집단행동을 계속하는 의대생들을 엄정 조치하라고 주문했다. 정부가 설정한 전공의 복귀 시한을 하루 앞두고 의대생에게도 동맹휴학이나 수업거부를 중단하지 않으면 불이익 처분을 피하기 어렵다는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이 부총리는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총장들과 영상간담회를 열고 “학생들이 잘못된 선택과 판단을 하는 것은 아닌지 여기 계신 총장님들이 모두 안타까운 마음으로 바라보실 것”이라면서도 “각 학교에서는 의대생들이 하루빨리 동맹휴학을 철회하고 학업에 전념하도록 독려해 달라”고 말했다. 이어 “지속적인 설득과 소통에도 단체행동에 대한 뜻을 굽히지 않고 휴학을 신청한 학생들과 수업거부를 이어가는 학생들을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조치해 달라”고 요구했다.
의대 입학정원 증원에 반발해 의대생들이 동맹휴학에 나선 이후 이 부총리가 의대 총장들과 간담회를 연 것은 지난 19일 이후 두 번째다. 이 부총리는 지난 간담회에 이어 엄정한 학사 관리를 강조했다. 그는 “휴학 신청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 철회하도록 독려하거나 반려하는 등 적극적인 조처를 해 달라”고 했다. 동맹휴학은 휴학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만큼 이를 승인하지 말아 달라는 의미다.
또한 의대 증원 수요조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했다. 교육부는 늘어나는 의대 정원 2000명을 대학에 배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각 대학은 다음 달 4일까지 학교에서 수용 가능한 증원 규모를 파악해 교육부에 제출해야 한다. 의대 학장들은 수용 가능한 의대 증원 규모가 350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지만 총장들이 이미 요청한 대로 2000명을 채울 수 있도록 증원 규모를 제출해 달라는 주문이다.
이 부총리는 “지금 의대 정원 증원을 해도 10년 뒤에나 의사들이 늘어나기 시작하므로 의대와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며 학교별 교육 여건을 고려해 미래 의료 인재 양성을 위해 필요한 증원 규모를 적극적으로 신청해 달라”고 말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