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과의 전쟁을 선포한 경북도가 기존 국가 주도의 돌봄 정책을 완전히 새로 고치겠다고 나섰다.
경북도는 올해부터 가정과 정부(국가, 지자체), 사회 공동체가 아이를 함께 돌보는 ‘온종일 완전 돌봄’을 시행하기로 하고 26일 경북도청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임종식 경북도교육감, 이동시 안동상공회의소회장, 고병헌 경북경영자총협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형 새 늘봄모델인 ‘온종일 완전 돌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온종일 완전 돌봄은 늘봄학교의 안정적이고 수준 높은 돌봄 제공을 위한 ‘경북형 학교 늘봄’ 협업 운영,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에게 아이 돌봄 시간을 지원하는 ‘조기 퇴근 돌봄’, 24시 어린이집과 24시 응급처치 편의점 등 ‘심야 돌봄’ 기능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늘봄학교의 수준 높은 운영을 위해 늘봄학교 프로그램에 더해 아이들의 안전과 건강을 책임질 안전 인력 배치와 양질의 친환경 간식 공급 등을 지원한다. 도는 지역 돌봄 기관과 연계해 늘봄학교 초과 수요에 선제 대응하고 학교와 지역사회를 잇는 ‘거점형 돌봄센터’를 구축한다.
출산·육아·건강·교육·병원·주거 정보 등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돌봄 통합정보 시스템도 마련한다.
중소기업에 다니는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가 직접 아이를 돌볼 수 있는 시간도 지원한다. 현재 육아기 단축 근무제도가 있으나 현장에서 고용주, 근로자 모두의 부담으로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다고 진단하고 도내 중소기업들에게 ‘육아기 단축 근무’ 동참을 요청한다. 육아기 단축 근무에 참여하는 기업에는 운전자금 이자 지원, 대출 우대, 세제 지원, 환경개선사업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구체적인 임금 보전 구간과 금액에 대해서는 전문가들과 함께 예산 추계 분석 등을 통해 최적화해 나갈 계획이다.
야간에 긴급한 돌봄이 필요한 부모들을 위해 24시 어린이집, 24시 응급처치 편의점 등 촘촘한 사회적·공적 돌봄 공동체 망을 확대 구축한다. 양육 공백 발생 가정에 지원하는 ‘아이 돌봄 서비스’와 ‘시간제 보육 지원’을 강화해 연간 2500명까지 돌보미를 확대 양성할 예정이다.
도내 119안전센터도 아이 돌봄터로 연중 개방한다.
이 지사는 “정부에서도 부처별로 흩어진 돌봄 기능을 통합하고 현장에서 저출생 극복을 가로막는 규제도 적극 개선하는 등 국민 체감도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달라”고 강조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