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증원 예정인 의대 입학정원 2000명을 대학별로 배분하는 작업을 본격화했다. 당초 4월 중순 마무리하려던 일정을 앞당겨 다음 달 완료하기로 했다. 의사들의 집단 반발에 대응해 ‘의대 2000명 증원 굳히기’에 들어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25일 교육부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 달 4일까지 전국 40개 의대로부터 증원 신청을 받아 다음 달 정원 배정 작업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애초 정부가 제시했던 일정을 앞당긴 것이다. 정부는 다음 달 중순까지 의대로부터 증원 신청을 받아 교육 여건과 교수 충원 계획 등을 분석한 뒤 4월 중순 정원 배정 결과를 통보할 계획이었다.
교육부는 정원 배정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하기 위해 의대로부터 접수된 증원 규모에 대한 별도 실사 작업도 진행하지 않을 방침이다. 지난해 말 정부가 의대 증원 규모를 도출하기 위해 대학들로부터 수요 조사를 실시했고 정부 의학점검반이 실사를 통해 의대별 교육 여건 등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속도전’에 나선 이유는 전공의와 의대생을 중심으로 집단행동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의대 2000명 증원을 기정사실로 하는 카드를 뽑아든 셈이다. 의대별로 증원 규모가 확정돼 대입 수험생에게 통보되면 이를 되돌리는 일은 쉽지 않다. 의대를 지망하는 고3 수험생들은 새 학기가 시작되면 학교생활기록부 관리를 하며 입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의대별로 얼마나 증원됐는지는 입시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가 된다. 의대 2000명 증원을 염두에 두고 입시 전략을 세워뒀는데 모집 정원이 또다시 오락가락하면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반발할 수 있다.
정부는 늘어난 의대 정원 2000명을 비수도권 의대와 정원 50명 미만 소규모 의대에 집중적으로 배정할 계획이다. 현재 40개 의대 가운데 정원 50명 미만은 17곳이다. 지방 소재 대학으로는 동아대(49명), 대구가톨릭대(40명), 강원대(49명), 건양대(49명), 을지대(40명), 충북대(49명), 울산대(40명), 제주대(40명) 등 12곳이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