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통신 3사 출격… AI 전략·기술력 ‘승부수’

입력 2024-02-26 04:02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 개막을 이틀 앞둔 2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전시장에서 모델들이 SK텔레콤 전시관을 소개하고 있다. ‘미래가 먼저다’(Future First)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세계 200여개국, 2400여개 기업이 참가한다. 사진공동취재단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의 막이 오른다. 핵심 키워드는 인공지능(AI)이다. 국내 이동통신 3사는 AI 전략 기술 전시와 시장 개척에 뛰어든다.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AI 폰 기술 경쟁도 치열할 전망이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에 따르면 MWC 2024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 비아’에서 26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진행된다. 세계 200여개국에서 2400여개 기업이 참가한다. 예상 방문객 수는 약 9만5000명이다. 올해 행사는 ‘미래가 먼저다’(Future First)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MWC는 모바일 위주 전시회인데, 주요 통신사들이 디지털 전환(DX)에 나서면서 AI와 클라우드 분야 기술 비중이 커졌다.

특히 AI 기술은 주요 테마로 다뤄진다. 이례적으로 비통신사업자인 ‘알파고의 아버지’ 구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가 첫날 ‘우리의 AI 미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맡는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는 AI 전략과 기술력을 선보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가 총출동한다. SK텔레콤은 텔코(통신) 중심 AI 기술을 내세울 예정이다. 에이닷을 비롯해 AI 컨택센터(AICC), 버추얼 에이전트, AI 필터링 등 텔코 특화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KT도 AI 라이프존을 마련하고 초거대 AI 협력 모델을 공개한다. ‘AI 문맥 맞춤 광고 서비스’와 AI 스케쥴링을 통한 도심항공교통(UAM) 교통관리시스템도 선보인다. LG유플러스는 별도의 전시관을 열지 않지만 임직원 참관단을 파견해 글로벌 AI 협력 기회를 모색한다.

삼성전자가 포문을 연 AI 스마트폰 주도권 경쟁도 이번 MWC의 주요 관전 포인트다. 삼성전자는 1745㎡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해 ‘최초의 AI폰’ 갤럭시 S24 시리즈의 실시간 통역, 생성형 사진 편집 등 AI 기능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갤럭시 AI 기능 강화와 생태계 확장 등의 계획도 발표할 계획이다.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KICTA)에 따르면 MWC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은 165곳이다. 스페인(696개), 미국(432개), 영국(408개), 중국(288개)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다.

샤오미는 최고급형 모델 ‘샤오미 14 울트라’ 출시 간담회를 열고 AI 기능을 선보인다. 화웨이도 음성인식 AI 기능을 적용한 ‘메이트60’를 전시한다. 독일 도이치텔레콤은 퀄컴과 손잡고 앱이 필요 없는 AI폰 시제품을 공개한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