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대학생 위한 정책 속속 도입… 지역정착 유도

입력 2024-02-26 04:03

광주시가 대학생을 위한 정책 도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세수결손에 따른 재정난에도 1000원의 아침밥 지원대상을 2배 이상 늘렸다.

광주시는 “지역 대학 재학생을 위한 ‘1000원의 아침밥’ 지원 비용과 기간, 인원을 대폭 확대했다”고 25일 밝혔다. 전남대와 조선대, 호남대, 광주과학기술원, 광주여대 등 5개 대학 재학생들은 3월부터 1000원만 부담하면 학교 구내식당 등에서 아침밥을 맘 편히 먹을 수 있다.

시는 5000~6000원 상당의 아침밥 비용 가운데 1000원을 1·2학기에 걸쳐 골고루 지원한다. 나머지 금액은 정부 2000원, 대학본부 1000~2000원 등으로 분담한다.

시는 지난해 하반기 1000원의 아침밥 정책을 도입하기에 앞서 ‘대학생 아침식사 지원조례’를 제정했다. 올해 예산을 2배 이상 늘려 지난해 4만90000명보다 훨씬 많은 10만명의 지역 대학생들이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학자금 대출로 인한 이자 부담을 덜어주고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도 적극적이다. 시는 올해도 1년 이상 광주에 거주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장학재단에서 대출받은 일반 상환 학자금과 취업 후 상환 학자금의 대출 이자를 지원한다.

또 관공서의 전공 관련 부서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도록 주선하는 일자리 드림-업(DREAM-UP) 사업 통해 현장 실무경험과 진로 탐색의 기회를 얻도록 돕고 있다. 올해부터는 지역 대학생의 취업을 뒷받침하는 ‘청년성장프로젝트’의 본격 시행에 들어간다. 광주인공지능사관학교, 메이커스 페이스 운영과 더불어 재무조정을 지원하는 청년드림은행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한다.

시 선관위는 오는 4·10 총선 과정에 전남대와 조선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일자리를 제공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2018년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초로 대학생들에게 ‘교통수당’을 지급하기 시작하는 등 대학생 자립을 위해 다각적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며 “젊은이들이 지역을 떠나지 않고 정착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뿌리를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