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지하수 보호를 위한 근본 대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제주도는 지하수 오염도 증가 지역을 중심으로 화학비료 및 농약 사용 저감, 가축분뇨 에너지화 방안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이 2008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2회 시행하는 지하수 수질 검사 결과, 지난 16년간 환경기준보다 낮지만 질산성질소는 매년 0.06㎎/ℓ의 증가 추세를 보였고, 염소이온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역별로 동부지역은 염소이온, 서부지역은 질산성질소와 염소이온 오염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서부지역 질산성질소 증가 원인 파악에선 한림·애월 서부·안덕 상류는 동물성 유기물질, 그외 지역은 화학비료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제주도가 실시한 ‘제주 친환경농업 확산을 위한 화학비료와 농약사용 저감방안 용역’에서는 제주의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이 전국 평균보다 4배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2019년 제주에서는 1㏊당 41.32㎏의 농약이 뿌려졌고, 같은 기간 전국 평균은 10.2㎏이었다.
이에 따라 도는 올해부터 농가 인식전환을 위한 캠페인을 추진키로 했다. 각종 농업인 대상 교육을 통해 화학비료 및 농약의 위해성을 알릴 계획이다.
또 ‘토양 검정·비료시비 처방 발급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농가가 신청하면 전문가가 토양 상태를 분석한 뒤 재배 작물에 필요한 비료시비의 종류와 양을 계산해 알려주는 사업이다. 친환경 작물보호제 지원도 늘린다.
이와 함께 가축분뇨에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민간기업과 가축분뇨 바이오가스 생산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는 등 2033년까지 11개 시설 설치를 목표로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 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19일 열린 주간 회의에서 “가축 분뇨, 농약 등이 환경오염에 미치는 심각성과 위기 의식을 보다 엄중하게 인식하고 부서 간 협업을 통해 대책을 적극 추진해달라”고 주문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