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 굵직한 현안사업이 실타래처럼 꼬이고 있다. 김대중컨벤션센터(DJ센터) 제2전시장 건립과 지역대학 지원 차원의 지역혁신플랫폼, 중증 장애인 공공형 일자리 사업 등이 예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해 11월 상무지구 DJ센터에 제2전시장을 건립하려고 발주한 기본설계 용역의 중단을 요청했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당초 마이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하 2층, 지상 4층, 연면적 4만6000㎡의 제2전시장을 2026년까지 완공하기로 했다. 하지만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로 첫 단계인 기본설계 용역을 중단했다.
지역대학의 혁신역량을 강화할 목적으로 추진 중인 ‘지역혁신플랫폼’ 사업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2020년부터 5년간 광주시와 전남도가 매년 100억원 정도를 출자하고 교육인적자원부가 400억원을 국비로 지원해 광주·전남 15개 대학에 연간 600억원, 총 3000억원을 골고루 지원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시는 세수결손에 따른 재정난으로 지난해 4월부터 올해 2월에 해당하는 4차년도 사업비 97억여원을 올해 본예산에 편성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협약 위반에 따른 국비 지원 중단을 검토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는 다음 달 사업관리위원회에서 광주시의 협약 위반을 종합적으로 심의할 예정이다.
중증 장애인 일자리 제공 예산도 사라졌다. 시는 역대 최대의 재정 위기로 100명의 중증 장애인을 고용하려던 계획을 백지화하고 6억7000만원의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광주시가 올해 확보한 국비 예산은 3조2446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635억원 줄었다. 1990년대 말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후 최악의 재정난을 겪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세출 구조조정과 투자사업 시기 조정 등을 통해 각종 예산 집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방채 발행 등 다양한 자금 조달방안을 모색해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발전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