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임시국회가 19일부터 시작된다. 오는 4월 10일 총선이 정확히 51일 남은 시점(19일)에 국회가 다시 열리는 것이다.
2월 임시국회의 최대 변수는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로 돌아온 이른바 ‘쌍특검법’(김건희 여사 특검법·대장동 50억클럽 특검법) 재표결 여부다. 더불어민주당이 ‘쌍특검법’ 재표결 버튼을 누를지 여부가 가장 큰 관심사다.
2월 임시국회에서 총선 선거구 획정안을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처리될지 여부도 주목되는 대목이다. 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선거구를 획정하지 못한 여야에 대해 질타의 목소리가 크다.
쌍특검법 재표결과 관련해 키를 쥐고 있는 민주당은 신중한 입장이다. 민주당 원내 관계자는 18일 “재표결 여부는 의원총회 등을 통해 총의를 모은 뒤 결정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쌍특검법 재의결에는 국회 재적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의 공천 탈락 의원들이 ‘반란표’를 던질 경우 쌍특검법 재의결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쌍특검법 재투표 결과 부결될 경우 발생할 역풍을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4월 총선 이후 재표결하자는 주장도 제기된다. 민주당 수도권 의원은 “총선 이후 재표결할 경우 쌍특검법을 선거에 활용한다는 비난에서 벗어나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2월 임시국회의 마지막 본회의가 예정된 오는 29일 전격적으로 쌍특검법 재표결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4월 총선 선거구 획정안이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될지 여부도 관심사다. 중앙선관위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해 12월 15일 자체 획정안을 제시했다. 이 획정안은 서울 강남 3구는 그대로 두고, 전북과 경기 부천의 선거구를 1석씩 줄이는 내용이 담겨 있어 민주당이 반발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획정위안을 최대한 존중해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은 여당 강세 지역인 서울 강남 지역구를 줄여야 한다고 맞서고 있어 최악의 늑장 사태가 우려된다. 앞서 21대(2020년) 총선에서는 선거일 39일 전에, 20대(2016년) 총선 때는 선거일 42일을 앞두고 각각 선거구 획정이 이뤄졌다.
여야는 2월 임시국회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과 대정부 질문 등을 통해 총선 승리의 당위성을 내세우는 여론전도 펼칠 전망이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20일로 예정된 대표연설에서 민생경제를 고리로 윤석열정부 심판론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1일 대표연설에서 거대 야당이 민생정책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주장을 펼칠 것으로 전해졌다.
또 22일에는 비경제 분야, 23일에는 경제 분야에 대한 대정부 질문이 이어진다. 이틀 동안 열리는 대정부 질문에서도 여야는 입씨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