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16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전날 담화에 “유의한다”면서도 일본인 납치 문제가 해결됐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선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박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일본은 북·일 평양선언(2002년 9월)에 기초해 납치와 핵·미사일 등 여러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한다는 방침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하야시 장관은 김 부부장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평양 방문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담화를 발표한 데 대해 “유의하고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기시다 총리는 북한과 여러 현안을 해결하고자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실현하고자 한다”며 “이를 위해 총리 직할의 고위급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했다. 그는 “김 부부장의 담화에 대한 평가를 포함해 그 이상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선 향후 교섭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발언을 삼가겠다”고 말을 아꼈다. 기시다 총리는 북한의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김정은 위원장과 북·일 정상회담을 개최하겠다고 밝혀 왔다.
우리 정부는 북·일 접촉과 관련해 한반도 평화 안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일 접촉은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안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정부는 일본 측과 북·일 접촉을 포함해 북핵·북한 문제 관련 긴밀한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한·미·일은 북한을 비핵화의 길로 복귀시키기 위해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북한이 일본과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것이 한·미·일 3국 협력을 흔들려는 시도라는 관측에 선을 그은 것이다.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최근 일본과 북한 간 관계에 대해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정 박 미국 국무부 대북고위관리는 워싱턴에서 취재진과 만나 “일반적으로 우리는 (북한과) 어떤 종류의 외교와 대화도 지지한다”며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 정부 노력을 강력히 지지한다”고 말했다.
송태화 이택현 기자 alvin@kmib.co.kr